2025/07/08 3

서대문 형무소와 그 주변의 숨은 역사 공간들

서대문 형무소, 한 도시가 간직한 가장 어두운 기억서울 서대문구 현저동에 위치한 서대문 형무소는 단순한 감옥이 아닙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당시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투옥되고 고문당했던 아픈 역사의 현장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장소입니다. 1908년, 조선총독부가 조선 통치를 본격화하던 시기에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이곳은 이후 ‘서대문감옥’, ‘서대문형무소’, ‘서울형무소’ 등으로 명칭이 바뀌며 계속 운영되었습니다.특히 3·1운동 이후에는 하루에도 수백 명에 달하는 독립운동가가 이곳에 수감될 만큼, 일제의 탄압 중심지로 기능했습니다. 유관순 열사가 이곳에서 순국하셨으며, 안창호, 여운형, 이봉창 등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고초를 겪은 장소이기도 합니다. 7개의 사동과 독방, 고문실, 사..

한강진과 구 이태원 철도 역사, 군사·교통의 교차점이 된 서울의 변두리

오늘의 서울에서 사라진 경계선, 이태원 철길의 흔적서울 용산구 한강진과 이태원 일대는 지금은 고급 레스토랑, 외국인 거리, 문화예술 공간으로 잘 알려진 지역입니다. 하지만 이 지역은 불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군사기지와 철도, 검문소가 맞물려 있던 도시의 경계 지대였습니다. 그 중심에 있었던 것이 바로 ‘이태원 철길’로 불리는 미군기지 연결용 철도 노선이었습니다.오늘날에는 자취를 감췄지만, 이 노선은 용산역에서 출발해 한강진과 이태원을 지나 경리단길 인근까지 이어지던 협궤 철로로, 미군 물자 수송을 위한 전략적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한강진 부근은 군용 차량이 지나다니는 군사도로와 철로가 겹치는 서울 내 보기 드문 구조였으며, 주민과 군인의 삶이 교차하던 곳이기도 했습니다. 철로가 지나던 자리, 한강진..

경춘철교와 옛 왕십리역, 서울 동북부 교통의 시간 흔적

잊힌 다리, 낡은 철로, 그리고 사라진 역사서울 성동구 성수동과 중랑천을 사이에 두고 놓인 한 오래된 철교가 있습니다. 이름은 ‘경춘철교’.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과거 경춘선 열차가 지나던 철교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은 전철이 아닌 보행자와 자전거가 오가는 한강 자전거 도로 일부가 되어 있지만, 이 다리 위에는 서울 동북부 교통과 산업의 변화를 품은 긴 이야기가 남아 있습니다.그리고 그 철교에서 멀지 않은 곳, 오늘날 왕십리역이 자리한 바로 그 부근에는 과거 '옛 왕십리역'이라 불리던 역사(驛舍)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흔적 없이 사라진 오래된 간이역이지만, 한때는 청량리에서 출발한 경춘선의 시작점이자, 서울 시민들의 주말 나들이와 피서 여행을 책임지던 교통의 거점이었습니다.이제는 주변 풍경도 바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