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4

경희궁, 조선의 또 다른 궁궐이자 잊혀진 왕실 공간

서울 중심에 숨겨진 궁궐, 경희궁의 재발견서울 종로구 신문로 일대,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도보로 10분 남짓 떨어진 곳에 고요하고 웅장한 전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경복궁이나 창덕궁, 창경궁을 떠올리지만, 이곳은 조선의 5대 궁궐 중 하나였던 ‘경희궁(慶熙宮)’입니다. 과거엔 ‘서궐’이라 불리며 왕이 거처했던 정궁 역할을 하기도 했고, 조선 후기 수많은 왕이 집무한 중요한 정치적 중심지였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근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철저히 잊히고 무너졌으며, 21세기 들어서야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서울 도심 중심부에 자리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경희궁은, 오늘날 ‘서울 숨은 역사 장소’에 가장 잘 부합하는 궁궐입니다. 겉으로는 조용한 공원이지만, 그 속에는 격동..

창의문, 왕의 사냥길에서 사색의 성문으로

조선 한양 도성의 북서쪽 문, 창의문의 역사적 의미창의문(彰義門)은 서울 한양 도성의 8대 성문 중 하나로, 북서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하문(紫霞門)’이라는 별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부터 도성의 북서쪽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했습니다. 창의문이라는 이름은 ‘창의(彰義)’ 즉 ‘의로움을 드러낸다’는 뜻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조선 후기 병자호란 당시 의병이 이곳을 통해 싸웠던 역사적 배경과도 깊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문은 단순한 출입구 이상의 상징성을 띠며, 서울 시민과 왕실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장소였습니다.도성 축성 당시 한양은 자연 지형을 적극 활용하여 성벽과 문을 배치했는데, 창의문은 북악산과 연결되는 산악지대와 도심의 경계에 위치했습니다. 이는 단지 방어적 목적..

약현성당, 조선 천주교 박해의 상흔이 남은 서울의 첫 성당

서울 도심에 숨어 있는 가장 오래된 성당, 약현성당서울 중구 중림동. 서울역에서 도보 10분 남짓의 거리, 빌딩과 아파트가 빽빽이 들어찬 이곳에 고풍스러운 붉은 벽돌 건물이 시선을 끕니다. 사람들은 무심코 지나치지만, 이곳은 대한민국 천주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인 약현성당입니다. 약현성당은 서울 최초의 본격적인 성당 건축물로, 1892년에 완공되어 지금까지 그 원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곳이 단순한 종교 시설이라는 인식은 반쪽짜리 해석입니다. 약현성당은 조선 말기 천주교 박해의 상처가 생생히 남아 있는 공간이며, 조선 왕조의 사상적 중심인 유교 질서 속에서 격렬한 저항과 갈등의 현장이었습니다. 약현성당은 종교, 건축, 도시사, 인권 문제까지 모두 포괄할 수 있는 복합적 기억의 현장..

광희문, 한양 외곽에서 외국인을 맞이하던 관문의 흔적

서울의 구석에서 만나는 낯선 이름, 광희문서울 종로구와 중구의 경계 어귀, 퇴계로를 따라 걸으면 어쩐지 주변과 어울리지 않는 작은 성문 하나가 시야에 들어옵니다. 높지도 않고 크지도 않으며, 유명 관광지도 아닌 이 문은 바로 ‘광희문(光熙門)’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경복궁, 창덕궁, 남산, 또는 서울성곽 하면 숭례문이나 흥인지문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광희문은 조선시대 한양 도성의 여덟 개 문 중 하나로, 엄연히 국가의 공식 시설이었고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던 문입니다. 지금은 소외된 역사 공간이지만, 이곳은 조선이 외부 세계와 접촉하는 통로였으며, 때로는 죽음과 외국의 경계를 넘나드는 민감한 장소로 존재해왔습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서울 숨은 역사 장소’로서 광희문이 왜 존재했고, 지금은 어떻게 남아 ..